본문 바로가기

2025년 임신, 출산지원금 정리

알파고2 2025. 1. 8.
반응형

임신, 출산지원금 정리(2025년)

#친구 또는 배우자에게 공유 필수! 꼭 알아두세요.

  1. 첫만남 이용권(최대 300만원)
    출산 시 첫째는 200만원, 둘째는 300만원 바우처 지급 국민행복 카드를 통해 입금
    출생일로부터 2년 까지 사용가능
    신청 방법: 주민센터나 복지로, 정부 24
  2. 임신바우처 (최대 160만원)
    24년 1월 1일 이후 출생 아동에게 임신1회당 100만원 바우처 지급 다태아 임신 시 140만원, 분만 취약 시 20만원 추가 지원 국민행 복카드로 지급되며, 출생 후 2년까지 신청 가능
  3. 산후도우미 지원
    지원 금액은 소득 기준, 몇 번째 아이인지, 도우미 기간에 따라 다름 신청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
  4. 부모급여 (최대 1800만원)
    만 0세 아동에게는 매월 100만원 지급 만 1세 아동에게는 매월 50만원 지급
    지급은 부모가 지정한 계좌로 이루어지며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닐 경우 보육료 차감 후 지급
    신청 방법: 행정복지센터, 복지로, 정부24
  5. 양육수당 (최대 250만원)
    24개월 이상 만 5세 미만 아동에게 매월 10만원 지급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닐 경우 지급되지 않음
    신청 방법: 행정복지센터, 복지로, 정부24
  6. 아동수당 (최대 840만원)
    만 0세에서 8세 미만 아동에게 매월 10만원 지급 부모급여와 중복 수령 가능
    신청 방법: 행정복지센터나 복지로, 정부24
  7. 전기세 감면
    출생 신고 후 월 30% 감면 (최대 한도 1만 6천원) 혜택 제공 출생일로 부터 3년동안 지원 가능
    신청 방법: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 또는 가까운 지사
  8. 주거비 지원 (서울 한정)
    25년1월 1일 이후 출생 또는 입양한 무주택 가구 대상 아기 1명당 월 30만원 2년간 지원
    신청 방법: 출생 또는 입양로 부터 6개월 이내에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
  9. 부동산 취득세 감면
    24년 1월 1일부터 25년 12월 31일 사이 출생한 아동 가정이 주택 구매 시 혜택
    출산 후 5년 이내에 주택을 구매하면 취득세 감면 신청 방법: 지역 시청 세무과
  10. 임신/출산 제왕절개비 지원(예정)
    본인 부담금이 5%에서 전액 무료로 전환 (해당 병원에 문의 필요)

  • 기타 혜택

신생아 특례대출, 공공주택 특별공급 청약 혜택, 교육지원 우선 제공,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육아휴직 급여 인상 등
* 대부분의 지원은 출생신고 후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출생증명서,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필수 지참)

좋은 혜택이 많으니 놓치지 말고 받자!









추가 지원 혜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