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아 성별 예측법: 램지법, 각도법, 심장박동수

알파고2 2025. 1. 15.
반응형

임신 중 아기의 성별 알아보는 3가지 초음파 예측법

임신을 하면 가장 궁금해지는 것 중 하나는 아기의 성별이죠. 아직 정확한 성별 확인이 어렵다면, 초음파를 활용한 재미있는 성별 예측 방법 3가지를 소개합니다. 과학적인 근거는 다소 부족하지만, 예비 부모님들에게는 소소한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램지법 (Ramzi Method)

램지법은 임신 초기 초음파에서 태반의 위치를 통해 성별을 예측합니다.

  • 태반이 자궁의 오른쪽에 위치하면 남아, 왼쪽에 위치하면 여아일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일부 연구에서는 높은 정확도를 주장하지만,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세요.


2. 각도법 (Nub Theory)

임신 12~14주에 태아의 척추와 생식기 돌기의 각도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생식기 돌기가 척추와 30도 이상 각도를 이루면 남아
  • 돌기가 척추와 평행하거나 10도 이하일 경우 여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태아의 자세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심장박동수로 예측

태아의 심박수를 통해 성별을 추측하는 방법입니다.

  • 심박수가 140회 이상이면 여아
  • 140회 이하이면 남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과학적 근거는 부족합니다.

정확한 성별 확인은 언제 가능할까?

재미로 즐기는 예측법은 흥미로울 수 있지만, 태아의 정확한 성별은 임신 16주 이후 초음파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나 위치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으니 의료 전문가의 진단을 받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