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절세 전략! 증여, 공제, 가업 승계 세금 절감 방법
상속세: 개념부터 절세 전략까지
1. 상속세란?
상속세(相續稅, Inheritance Tax)는 사망한 사람(피상속인)의 재산을 상속받는 사람이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정 금액 이상의 유산을 물려받을 경우 상속세가 부과되며, 과세 대상과 세율은 법으로 정해져 있다.
1.1. 상속세 과세 대상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사망과 함께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재산이 과세 대상이 된다.
- 금전적 자산: 현금, 예금, 주식, 채권 등
- 부동산: 토지, 건물, 임야 등
- 기타 자산: 자동차, 골동품, 특허권, 지적 재산권 등
또한, 피상속인이 생전에 증여한 재산 중 일부도 상속세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1.2. 상속세 세율
상속세는 과세표준(상속받은 재산의 가치)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속재산이 15억 원인 경우 상속세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1억 원까지: 1억 × 10% = 1,000만 원
2. 5억 원까지: (5억 - 1억) × 20% = 8,000만 원
3. 10억 원까지: (10억 - 5억) × 30% = 1억 5,000만 원
4. 15억 원까지: (15억 - 10억) × 40% = 2억 원
총 세액: 1,000만 + 8,000만 + 1억 5,000만 + 2억 = 4억 4,000만 원
누진공제액 1억 6,000만 원을 빼면 2억 8,000만 원이 최종 상속세가 된다.
2. 상속세 절세 전략
상속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전 증여, 공제 혜택 활용 등 다양한 절세 전략이 필요하다.
2.1. 증여를 활용한 절세
상속세는 일정 금액 이상일 때 높은 세율이 적용되므로 생전에 증여를 활용하면 유리할 수 있다.
10년 주기의 증여 공제 한도 활용
- 배우자: 6억 원
- 성인 자녀: 5,000만 원
- 미성년 자녀: 2,000만 원
- 손자녀: 1,000만 원
예를 들어, 20년 동안 성인 자녀에게 총 1억 원을 증여하면 세금 없이 재산을 이전할 수 있다.
- 미리 증여하고 장기 보유: 재산을 미리 증여하고 10년 이상 보유하면, 상속세 과세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2.2. 공제 혜택 활용
상속세 부담을 줄이는 다양한 공제 혜택이 존재한다.
- 기본 공제: 5억 원
- 배우자 공제: 최대 30억 원
- 미성년 자녀 공제: 1명당 1천만 원 × (20 - 상속 당시 연령)
- 장애인 공제: 1명당 1천만 원 × (75 - 상속 당시 연령)
- 동거 주택 상속 공제: 80% 공제(최대 5억 원)
배우자가 상속을 받을 경우, 배우자 공제(최대 30억 원)를 적극 활용하면 상속세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다.
2.3. 가업 승계를 활용한 절세
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 가업 상속 공제 제도를 활용하면 상속세를 크게 줄일 수 있다.
-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상
- 가업 영위 기간에 따라 최대 500억 원까지 공제 가능
- 피상속인이 사망 전 10년 이상 기업을 운영해야 함
이를 통해 가족 기업을 운영하는 경우, 기업 자산의 상당 부분을 상속세 부담 없이 물려줄 수 있다.
3. 상속세 신고 및 납부 방법
3.1. 신고 기한 및 방법
상속세 신고는 상속 개시일(사망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해야 한다. (해외 거주자의 경우 9개월 이내)
신고 방법
1.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한 전자 신고
2. 세무서를 방문하여 직접 신고
3.2. 납부 방법
상속세는 일시납 또는 분할 납부(연부연납)가 가능하다.
- 일시납: 신고 기한 내 전액 납부
- 연부연납: 2천만 원 이상인 경우 5년간 분할 납부 가능
- 물납: 현금 납부가 어려운 경우, 부동산이나 주식으로 납부 가능
4. 상속세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Q1. 상속세는 모든 경우에 부과되나요?
아니요. 상속 재산이 기본 공제(5억 원) 이하인 경우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Q2. 상속세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미리 증여하여 세율 구간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배우자 및 기타 공제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업 승계 공제, 동거 주택 공제 등 특수 공제도 적극 고려해야 합니다.
Q3. 상속세 신고를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최대 40%)가 부과될 수 있으며, 국세청의 세무조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상속세는 높은 세율로 인해 사전 대비가 필수적입니다. 미리 증여를 계획하고, 배우자 및 가업 승계 공제 등을 적극 활용하면 절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고 기한을 준수하고 분할 납부(연부연납) 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입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 공동명의 계약, 꼭 필요한 서류는? 한눈에 정리한 체크리스트 (1) | 2025.04.30 |
---|---|
전자수입인지 발급, 신청 방법 (3분 안에 간단하게) (1) | 2025.04.29 |
2025년 아기 적금 TOP 8 비교! (최고 금리 10%) (0) | 2025.02.27 |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 금리 인상 25.03.24 적용 (0) | 2025.02.26 |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 금리 0.2%p 인상: 지역별 차등 적용 및 청년 지원 대책 (0) | 2025.02.26 |
댓글